[인물] 삼육대 전은선 양, 대통령과학장학생 선발
페이지 정보
김범태 기자
kbtlove@kuc.or.kr
입력 2023.01.27 09:55
글씨크기
본문
재무실 권혁성 과장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받아
삼육대 화학생명과학과 전은선(3학년) 학생은 ‘2022년 대통령과학장학생’에 선발됐다. 지난해 선발된 천재환(4학년) 학생은 계속 장학생 자격을 유지했다.
대통령과학장학생은 창의적이고 잠재력이 풍부한 과학기술 분야 최우수 학생을 발굴·육성 지원함으로써 세계적 수준의 핵심 과학자군을 양성하기 위한 장학제도. 학업성적과 과학활동, 성장계획, 봉사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심층면접을 거쳐 선발하며, 졸업 때까지 등록금 전액과 학기당 250만 원의 학업장려비를 지원한다.
올해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선발된 전은선 양은 전공과 지식탐구에 대한 열의가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지식을 통한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중학생 시절 메르스가 생명을 앗아가는 상황을 보며 백신 개발 연구원이라는 꿈을 갖게 된 그는 보다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 삼육대 화학생명과학과에 입학했다. 재학 중 교내 학술 경진대회에 참가해 ‘질병진단-신속진단키트(RDT Kit) 원리’ ‘약물의 사용기전-진통제 메커니즘’ 등을 주제로 발표해 최우수상과 장려상을 받았다. 매 학기 과 수석을 놓치지 않을 정도로 성적도 우수하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실험교육 봉사활동도 꾸준히 하고 있다.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과학실험을 직접 설계하고 가르치며 교수법을 익혔다. 청소년들은 정규 교육과정에서 쉽게 체험하지 못하는 실험을 하면서 생명과학에 흥미를 갖게 됐다.
전은선 학생은 “생물학이 암기과목이라 힘들다는 학생이 실험을 하며 원리를 알고 흥미를 느끼는 모습을 볼 때, 진로 문제로 고민하는 학생에게 생물학의 여러 분야를 설명해줄 때,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스스로 가치 있는 사람임을 깨닫게 됐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공부하는 방식은 나 자신의 고민에도 해답을 찾아주고는 했다”고 말했다.
특별히 치매치료 연구 분야에 관심이 많다는 그는 학부 졸업 후 뇌인지과학 대학원에 진학해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연구자로 활동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주변에 치매 환자가 많아 환자의 가족들이 겪는 고통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서 학부에서 전공한 생명과학뿐 아니라, 컴퓨터공학, 화학공학, 약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배우고 접목해 융합적으로 사고하고 성과를 내는 과학자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권혁성 과장,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삼육대 재무실에 근무하는 권혁성 과장이 ‘국민교육발전 유공자’로 선정돼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권 과장은 지난 29년간 삼육대 총무과, 전산교육원, 기획처, 입학관리본부, 정보전산원, 대외협력처 등에서 근무하며 전산교육지원, 네트워크망 구축 운영, 학생홍보대사단 운영 등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특히 지난 2018년부터 사무처와 재무실에서 입찰 및 계약 구매업무 등을 맡아, 투명한 계약과 공정한 입찰을 진행함으로써 대학 재정 절감에 기여했다.
■ 김성운 교수 개인전 ‘노스탤지어 빛 III-해바리기 길(吉)’
삼육대 문화예술대학장 겸 아트앤디자인학과 교수인 김성운 작가의 23번째 개인전 ‘노스탤지어 빛 Ⅲ-해바라기 길(吉)’ 전이 지난해 12월 28일부터 올 1월 2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아트프라자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에는 300호 크기의 ‘무량(無量)’ 등 소(牛) 그림 50여 점과 김 교수가 직접 현지에서 사생한, 동일 기법과 색감으로 그린 유럽 풍경화가 함께 선보였다.
올 8월 정년을 바라보는 김 교수는 교육자로서의 여정을 뒤돌아보며 ‘길’이라는 키워드를 선정했다. ‘해바라기 길’로 명명한 ‘길’은 인생의 길, 낭만의 길, 깨달음, 사유의 길 등 경로, 도로를 의미하는 ‘길’인 동시에 ‘복되고 상서롭다’는 뜻의 ‘길(吉)’을 중의적으로 서로 교차 소통했다.
김 교수는 작가노트에서 “내 그림은 한국의 고향의식 문화를 기반으로 그렸지만, 국제 감상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어느 나라, 어느 감상자가 봐도 감동할 만한 조형과 색을 만들어 완성도를 높이려고 노력했다”면서 “겉으로는 구상적이지만 나의 뇌리에 각인된 도상을 상상력에 의한 초현실적으로 구현한 추상화다. 그래서 조형은 자유롭게 하고, 의도적으로 대소, 강약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프랑스 미술평론가 장 루이 쁘아뜨뱅은 “김성운은 드물게도 한국 회화와 서양 예술 개념을 한데 아우르는 데 성공한 작가다. 그의 작품에서는 미학과 감성이 하나를 이룰 뿐만 아니라 화풍 자체도 정상의 수준까지 견인한다”고 평했다.
김 교수는 작가로서 소와 동심을 바탕으로 고향의식을 해체적으로 다루며 30년째 화업을 이어오고 있다. 2015년 연구년을 맞아 프랑스로 미술 유학을 떠나 현지에서 두 번 개인전을 연 것을 비롯해, 서울, 도쿄 등 국내외에서 개인전 23회를 개최했다. 단체전은 250여 회 출품했다.
파리 퐁데자르갤러리, 라빌라데자르갤러리 소속 작가이며, 작품 소장처는 미국의회도서관, 전남도립미술관, 한국산업은행, 프랑스·일본 콜렉터 등이 있다. 저서로는 ‘힐링이 있는 그림이야기(모래와 거품)’, ‘디지털시대 광고디자인론(차송)’, ‘들뢰즈 철학과 예술을 말하다(동인, 공저)’가 있다.
#삼육대 #김일목총장
특집
-
[김지혜의 Interview-e] ‘부부 독도화가’ 권용섭·여영난 화백 2024.12.20
최신뉴스
-
한국연합회 여성협회 ‘신년 헌신기도회’ 개최 2025.01.22
-
영남 평실협 회장에 권주혁 장로 선출 2025.01.22